불면증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불면증 HOME

불면증

불면증

불면증에는 자려고 누워도 30분 이상 뒤척이면서 쉽게 잠들지 못하는 입면장애와 일단 잠이 들긴 했는데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숙면장애, 그리고 잠을 자다가 이른 새벽에 깨어나서는 다시 잠들지 못하는 조기각성의 세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을 겪은 기간이 2~3주 정도라면 단기 불면증, 4주 이상 지속된다면 장기 불면증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몇 개월 이상씩 불면증을 겪는 만성 불면증의 경우도 대부분 초기의 단기 불면증을 가볍게 생각하고 괜찮아지겠지 하면서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않아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불면증을 겪은 지 4주가 넘었다면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실 필요가 있습니다.



불면증의 원인

스트레스, 노화, 호르몬 변화, 지나치게 꼼꼼하고 생각을 많이 하는 성격 등 여러 가지이지만 결국은 내 몸의 균형이 깨졌을 때 나타나는 것입니다.
균형이 깨졌다는 것은 결국 五臟六腑(오장육부)의 虛實(허실), 寒熱(한열)의 편차가 심해졌다는 얘기고 이를 맞춰주면 자연스럽게 수면이 찾아오게 되는 것이 우리 몸의 이치입니다.


불면증의 원인 분류

  • - 허번불면(虛煩不眠)
    를 끌 수 있는 (진액)의 부족으로 인해 허열(虛熱)이 상승하여 생긴 불면증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 - 기혈부족(氣血不足)
    과로, 수술, 큰 병치레 등의 체력의 소모가 많거나 신경을 많이 써서 항상 피로감을 호소하면서도 잠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심담허겁(心膽虛怯)
    담음(痰飮)이 심담(心膽)을 막거나 담력(膽力)이 약해진 것이 원인이 되어 자주 깜짝깜짝 놀라거나 원인 모를 두려움에 잠을 못 이룹니다.

  • - 사결불수(思結不睡)
    지나치게 많은 생각으로 인해의 흐름이 막혀서 원활하게 소통되지 못해서 생긴 불면증으로 특히 소화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기울화화(氣鬱化火)
    아주 오래된 스트레스나 억울한 감정들이 만들어낸 기울(氣鬱)이 로 변해서 우울해 하거나 한숨을 자주 쉬면서 밤잠을 못 이룹니다.

치료방법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허실(虛實), 한열(寒熱)이라는 다양한 변수를 통해서 나타나는 불면증을 수면제나 호르몬제를 통해서 고치려고 하는 것은 홍수가 난 마을을 흙 한줌, 삽 하나로 메우려고 하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하지만 한의학적인 방법으로 전신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건강한 몸을 만들어 불면증을 치료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홍수가 난 마을에 물길을 내주어 물을 빼내는 것과 같습니다.
한방에서는 진찰을 통해서 虛煩不眠(허번불면), 氣血不足(기혈부족), 心膽虛怯(심담허겁), 思結不睡(사결불수), 氣鬱化火(기울화화) 등의 불면증의 원인을 밝히고 오장육부의 허실과 한열의 균형을 맞춰주는 방법으로 건강하고 자연스럽게 몸을 다스려 불면증을 치료합니다.